프로젝트/미세먼지 프로젝트

(1day)계획 수립

crab. 2022. 5. 9. 23:09
반응형

프로젝트 주제 선정

우리나라는 매일 미세먼지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는 육안으로는 잘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openAPI를 이용해

그 지역의 미세먼지 측정량을 알려주는 웹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다.

애자일 방법론

이 프로젝트에서는 2주단위의 스프린트로 진행하는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자 한다.

애자일에서의 일의 단위는 Theme, Epic, Story, Task이며

이 프로젝트에서는 각각

Theme: “웹을 통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Epic: “고객은 들어온 것 만으로 자신의 지역의 미세먼지를 알 수 있다.”

Story: “고객으로서, 미세먼지농도를 알기 위해, 웹사이트에 들어와 한눈에 농도를 본다”

Task: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화면을 구성한다.”

이다.

애자일에서 일의 기본단위는 “스토리”이다.

스토리는 ‘어떤 사용자가,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다.’

라는 식으로 표현되는 일의 단위이다.

openAPI

한국환경공단_에어코리아_대기오염정보

를 사용하고자 한다.

참고문서가 따로 있어 활용하기도 좋으며 내용이 풍부하다.

기술

코어: javascript

스타일링: scss

패키지 매니저: Yarn

빌드: Webpack, Babel

테스트: jest

배포: netlify

기능

스토리

 

  • 스토리1
    • 실내에서 환기를 시키거나, 실외로 나가야하는 고객이,
    • 현재 자기위치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한눈에 알기 위해,
    • 웹사이트에 들어온다.

 

  • 스토리2
    • 다른 지역에 가야하는 고객이,
    • 다른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알기 위해,
    • 웹에서 다른 지역을 검색한다.

 

  • 스토리3
    • 다른 날짜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알고 싶은 고객이,
    • 다른 날짜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알기 위해,
    • 웹에서 다른 날짜를 검색한다.

테스크

  • 스토리1의 Task
    • 한눈에 알기 쉬운 UI/UX → adobe XD
    • 고객의 현재위치 얻기 → navigator 객체에 geolocation 속성이용
    • (초)미세먼지 농도 정보 제공 → open API 활용

 

 

  • 스토리 3의 Task
    • 버튼을 누를 시 내일 혹은 모레까지 농도를 알 수 있게 하기 → open API 활용

일정

  • 5/9 ~ 5/22
반응형

'프로젝트 > 미세먼지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day)cors & server  (0) 2022.05.14
(4day)CORS  (0) 2022.05.12
(3day)geolocation & kakao  (0) 2022.05.12
(2day)open API  (0) 202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