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미세먼지 프로젝트 5

(5day)cors & server

react로 리팩토링 구글링을 여러가지로 해본 결과 리액트앱으로 시작하여 참고자료들을 사용하며 배우고 적용하는것이 가장 빠른길일 것 같다. 리액트는 그저 라이브러리일 뿐이고 나는 어쩌면 피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그래서 다시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만들어 기존 프로젝트를 포팅했다. yarn으로 react create app 하였고 node-sass와 fontawesome 도 새롭게 하였다. 기존에 계속 react의 기초를 공부하여 그래도 어느정도 쉽게 포팅했다. react, express, nodejs 로 cors문제 해결 약간 비겁하게 해결한 것 같지만 그래도 구글링도 프로그래머의 기초소양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근본적인 해결인 proxy server를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했다. MERN(mongoDB, ex..

(4day)CORS

geolocation 문제 해결 자고 일어나니 해결했다... 내가 해결한 방법은 함수안에 api를 넣은것이다. 문제의 원인이 지오로케이션의 latitude가 success함수 내애서만 정상적으로 나온다는 것인데 그래서 카카오 api를 그 함수내에 넣고 그 latitude를 사용해주었다 이 해결방법이 되는건 알겠지만 도대체 왜 어제 생각못했는지 모르겠다.. 수학문제든 코딩이든 자고 나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나보다 CORS 문제 이제 공공데이터의 api를 이용해서 미세먼지농도를 추출하면되는데 쉬울줄 알았던게 오히려 더 어렵게 가는 것 같다. 그러면서도 이제야 좀 알겠는게 rest api를 위해 jquery와 ajax를 공부했다. 그래서 과거에는 몰랐던 카카오 api를 ajax로 응답받는데 성공했다! 하고 나니..

(3day)geolocation & kakao

현재 위치 알아내기 navigator 객체의 geolocation메소드를 이용하여 알아냈다. 의외로 쉬웠는데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객체였고 단지 조금 막혔던 부분은 html의 요소를 js에서 데려올때 계속 locationEl 이 계속 undefined 됐다는 것이다. 해결은 하나의 요소를 만드는 것이기에 const를 붙이니 해결되었다. 위치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되었다. 위도와 경도를 지역으로 바꾸기 상당히 막히고 있다.. 카카오 api를 이용하는게 가장 빠르고 좋을 것 같은데 생각보다 쉽지않다. api키를 얻고 모듈화까지 해서 지도도 그려지고 확대 축소도 되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 지역의 이름이 안나온다..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봐야겠다. 우선 다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카카오 api만 활용하..

(2day)open API

공공데이터 키값 받기 생각보다 쉬웠다. 우선 회원가입을 하고 원하는 공공데이터를 검색하여 찾은 후 활용신청을 하면 끝이다. 그렇게 키값을 받으면 일반 인증키로 원하는데이터를 받을 수 있으며 이번에 내가 받은 데이터에는 워드파일이 참고로 있어 더 활용하기 좋았다. 요청/응답 메시지 예제 우선 간단히 요청/응답을 잘 주고받나 테스트해봤다. 참고파일의 예제를 보면 http://apis.data.go.kr/B552584/ArpltnInforInqireSvc/getMinuDustFrcstDspth?searchDate=2020-11-14&returnType=xml&serviceKey=서비스키&numOfRows=100&pageNo=1 인데 이는 조회날짜 입력시의 예제이다. 2020-11-14를 바꾸어주면 다른 날짜의..

(1day)계획 수립

프로젝트 주제 선정 우리나라는 매일 미세먼지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는 육안으로는 잘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openAPI를 이용해 그 지역의 미세먼지 측정량을 알려주는 웹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다. 애자일 방법론 이 프로젝트에서는 2주단위의 스프린트로 진행하는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자 한다. 애자일에서의 일의 단위는 Theme, Epic, Story, Task이며 이 프로젝트에서는 각각 Theme: “웹을 통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Epic: “고객은 들어온 것 만으로 자신의 지역의 미세먼지를 알 수 있다.” Story: “고객으로서, 미세먼지농도를 알기 위해, 웹사이트에 들어와 한눈에 농도를 본다” Task: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