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존재하는 차트 관련 라이브러리들은 여러개가 있지만 그 중에서 제일 인기가 많고 또 레퍼런스도 많으며 무엇보다 공식문서가 잘 정리되어 있는 chart.js를 사용하기로 했다. 특징 CANVAS 베이스로 빠른 렌더링 오픈소스 무료 제공이지만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새로운 버전 출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정도로 잘 정리된 문서 정말 작은 라이브러리 용량 (713 byte) 매우 적은 메모리 사용 사용 방식 내가 사용한 chart.js의 방식은 컴포넌트 내부에 chart 컴포넌트들을 따로 만들고 그 컴포넌트에 필요한 정보들(labels, data)들을 props로 전달해 렌더링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labels는 가로축, data는 세로축을 의미한다. 나의 경우 각 이벤트 마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는..